Bean과 Component 차이 | 기록하는개발자 | DevAndy (youngjinmo.github.io)
Bean과 Component 차이
스프링은 개발의 제어권이 스프링 컨테이너(IoC 컨테이너)에 있다고 한다. 그래서 이를 IoC(Inversion Of Control), 제어의 역전이라고 한다. 스프링이 개발자 대신 객체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객체들이
youngjinmo.github.io
[Spring] 빈 등록을 위한 어노테이션 @Bean, @Configuration, @Component 차이 및 비교 - (1/2)
기존의 Spring MVC에서는 xml을 활용하여 Bean을 등록하고 있었다. 하지만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사용하는 요소들을 xml에 등록하는 것이 상당히 번거로워 져서 어노테이션(Annotation, @)를 활
mangkyu.tistory.com
@Configuration 으로 빈을 등록할 클래스를 빈 컨테이너에 빈을 등록하고 @Bean으로 해당 메소드에 올려놓으면 등록된 빈을 활용해서 해당 메소드의 기능을 가진 빈을 생성
(수동으로 개발자가 제어하지 못하는 특정 라이브러리등을 빈으로 등록하고 싶을 때 혹은 수동으로 빈을 컨트롤하고 싶을 때 사용 / @Bean 단독으로 사용하면 싱글톤이 안됨 반드시 @Configuratton과 함께 써야지만 싱글톤이 됨)
@Component 을 사용하면 자동으로 스프링에서 component 검색을 진행해서 해당 클래스를 빈으로 등록
[JAVA] String은 불변하기에 파라미터에 전달될 때 callbyvalue로 전달 (0) | 2023.11.10 |
---|---|
[java]Integer.toString(x, 2) 과 Integer.toBinaryString의 차이점 (0) | 2023.09.24 |
[JAVA] String의 replace (0) | 2023.08.14 |
[SpringBoot] springboot 구조 (0) | 2023.08.14 |
[JAVA] Arrays.sort에서 Comparator 활용해서 내림차순 하기 (0) | 2023.08.06 |